2.6 IoC, DI 그리고 컨테이너 - 스프링으로 전환
프로그램에 제어에 대한 권한을 AppConfig가 가져감
이렇듯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_IoC이라 한다.
프레임워크가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 대신 실행하면 그것은 프레임워크가 맞다. (ex. JUnit)
반면에 내가 작성한 코드가 직접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그것은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라이브러리다
클래스가 사용하는 import 코드만 보고 의존관계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클래스 의존관계 만으로는 실제 어떤 객체가 OrderServiceImpl 에 주입 될지 알 수 없다.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실제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의 참조가 연결된 의존 관계다.
JUnit과 같은 프레임워크 또한 IoC가 일어나고 있다. (사용자가 제어권이 없기 떄문) 따라서, 좀더 특성에 맞게, DI컨테이너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의존관계를 주입해주기 때문)
이제껏, 순수한 자바 코드만으로 DI를 적용했다. 이제 스프링을 사용해보자.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public class MemberApp {
//*단축키 psvm 후 enter 시 메인 생성 가능*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Config.memberService();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
}
}
applicationContext.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Bean객체는 기본적으로 메서드 명으로 등록된다.
빈 등록 정보 로그로 확인(DEBUG모드에서 확인 가능)
15:18:08.294 [main] DEBUG o.s.b.f.s.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appConfig'
15:18:08.298 [main] DEBUG o.s.b.f.s.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memberService'
15:18:08.302 [main] DEBU<u>G o.s.b.f.s.DefaultListableBe</u>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memberRepository'
15:18:08.302 [main] DEBUG o.s.b.f.s.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orderService'
15:18:08.303 [main] DEBUG o.s.b.f.s.DefaultListableBeanFactory --
Creating shared instance of singleton bean 'discountPolicy'
ApplicationContext 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기존에는 개발자가 AppConfig 를 사용해서 직접 객체를 생성하고 DI를 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서 사용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uration 이 붙은 AppConfig 를 설정(구성) 정보로 사용한다. 여기서 @Bean 이 라 적힌 메서드를 모두 호출해서 반환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이렇게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 한다.
스프링 빈은 @Bean 이 붙은 메서드의 명을 스프링 빈의 이름으로 사용한다. (memberService , orderService)
이전에는 개발자가 필요한 객체를 AppConfig 를 사용해서 직접 조회했지만,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 해서 필요한 스프링 빈(객체)를 찾아야 한다. 스프링 빈은 applicationContext.getBean() 메서드를 사용 해서 찾을 수 있다.
기존에는 개발자가 직접 자바코드로 모든 것을 했다면 이제부터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 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빈을 찾아서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